top of page

-커뮤니티 내에서 이루어지는 전투는 모두 다이스봇과 스토리계정과 함께합니다.

 

-커뮤니티의 멤버들은 모두 기본적으로 100 HP를 가지며, HP 수치가 0에 도달하면 전투불능이 됩니다. (※이 때의 부상묘사는 오너분이 자유롭게 묘사하는 것이 가능하나 극고어적인 묘사는 지양해주시기 바랍니다!) 

 

-전투불능 시, HP를 채우는 일반 회복 아이템을 사용할 수 없게됩니다. 그러나 일부 아이템으로 전투불능에서 벗어나는 것이 가능합니다.

-[공격턴][방어턴]을 번갈아 시행한 것을 1턴으로 간주합니다.

-공격과 방어 수치 모두 다이스봇을 굴려 결정하며, 방어 다이스가 공격 다이스보다 높을 경우 방어에 성공하게 됩니다.

-그러나 공격 다이스가 방어 다이스보다 높게 책정된 경우, 방어에 실패하게 됩니다. 이 때의 데미지는

(공격 다이스 × 상성 ) - (방어 다이스) = (최종 데미지)로 정산됩니다.

-아이템의 경우, 1인당 1턴에 1번씩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투에 사용되는 다이스의 최대수치는 20이며, 공격 및 방어 데미지는 모두 다이스의 수치로 계산됩니다. 

-본 커뮤는 원작의 타입상성 시스템을 차용합니다. 포켓몬들이 사용하는 기술의 타입은 공격수치에 계산되며,

상성에 따라 데미지가 반감되기도, 배가 될 수 있습니다. 해당 시스템에 대해서는 포켓몬 위키의 사용을 적극 권장합니다.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0배 데미지

효과는 아주 별로였다. - 0.25배 데미지

효과는 별로였다. - 0.5배 데미지

효과는 굉장했다. - 2배 데미지

효과는 아주 굉장했다. - 4배의 데미지

-포켓몬의 기술은 2개로 제한되며, 신청서 작성시 자력기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고르는 것이 가능합니다. ( ※교배기는 불가합니다.)

​-신청서 작성시 고른 2개의 기술은 레이드와 조사중 전투에 사용하게 됩니다.

-커뮤니티 내의 배틀룰에 따라 랭크변화기(ex.칼춤, 나쁜음모), 상태이상기(ex.도깨비불, 전기자석파)의 사용이 불가합니다.

또한 일부 공격기술에 포함된 부가효과 또한 본 커뮤내에서는 사용하지 않거나 수정될 수 있습니다.

(ex. 구멍파기: 1턴째에 파고들어 2턴째에 상대를 공격한다. > 일반 땅타입 공격으로 정산됨)

-일부 특수기는 사용이 가능하나(ex.흉내내기, 치유의 파동, 비바라기), 일부 특수기 또한 커뮤니티의 배틀룰에 적합하지 않다는 판단하에 사용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ex.트릭룸)

기술의 가능/불가능의 여부를 총괄계에 문의해주신다면 답변해드립니다.

-또한 사용이 가능한 특수기가 원작과 다르게, 룰에 맞게 수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용이 불가한 기술을 신청서에 작성했더라도 합격률에 영향을 미치지않습니다.

 

-사용이 불가능한 기술들, 혹은 기능의 수정이 필요한 특수기들은 합격자 발표 이후 계정이 생성되면 총괄계가 직접 DM으로 컨택하여

수정의 과정을 거칩니다.

 

-러닝 도중 기술머신을 발견하여 새로운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가능합니다. ( ※단, 두개의 기술 중 하나를 잊고 덮어씌워야합니다.)

-메가진화란?

     메가진화한 포켓몬은 숨겨진 힘을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일반적인 진화로는 있을 수 없는 힘을 발휘한다. 일반적인 진화와 달리 배틀 중에만 발생, 배틀이 끝나면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지만 배틀 도중에 원상태로 돌아가지 않는다. 메가진화하기 위한 조건은 두가지, 트레이너의 몸에 지닌 키스톤과 포켓몬이 지닌 메가스톤의 공명. 그리고 트레이너와 포켓몬의 강한 유대감. 

-메가진화 포켓몬의 소지가 가능합니다. 커뮤니티 러닝 중 벌어지는 레이드에서는 언제나 메가진화를 한다는 설정이므로, 신청서에 메가스톤과 키스톤의 소지를 확실히 해주시기 바랍니다. 

-메가진화를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전투에서 특별한 메리트는 없습니다. 하지만 전투중 일부 연출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메가진화 마크.

트레이너들의 키스톤은 이러한 모양이 새겨져있으며,

​보통은 액세서리의 모습으로 만들어 소지합니다.

상성룰은 7세대의 룰을 따릅니다. (※6세대 이후)

배틀룰
기술과 상성
메가진화
날개를주세요 - -
00:00 / 00:00
bottom of page